창세기 35장 16절~29절
16절 그들이 벧엘에서 발행하여 에브랏에 이르기까지 얼마 길을 격한 곳에서 라헬이 임산하여 심히 신고하더니
17절 그가 난산할 즈음에 산파가 그에게 이르되 두려워말라 지금 그대가 또 득남하느니라 하매
18절 그가 죽기전에 임하여 그 혼이 떠나려 할 때에 아들의 이름은 베노니라 불렀으나 그 아비가 그를 베냐민이라 불렀더라
19절 라헬이 죽으매 에브랏 곧 베들레헴 길에 장사되었고
20절 야곱이 라헬의 묘에 비를 세웠더니 지금까지 라헬의 묘비라 일컫더라
21절 이스라엘이 다시 발행하여 에델 망대를 지나 장막을 쳤더라
22절 이스라엘이 그 땅에 유할 때에 르우벤이 가서 그 서모 빌하와 퉁간하매 이스라엘이 이를 들었더라 야곱의 아들은 열둘이라
23절 레아의 소생은 야곱의 장자 르우벤과 그 다음 시므온과 레위와 유다와 잇사갈과 스불론이요
24절 라헬의 소생은 요셉과 베냐민이며
25절 라헬의 여종은 빌하의 소생은 단과 납달리요
26절 레아의 여종 실바의 소생은 갓과 아셀이니 이들은 야곱의 아들들이요 밧단아람에서 그에게 낳은 자더라
27절 야곱이 기럇아르바의 마므레로가서 그 아비 이삭에게 이르렀으니 기럇아르바는 곧 아브라함과 이삭의 우거하던 헤브론이더라
28절 이삭의 나이 일백 팔십세라
29절 이삭이 나이 많고 늙어 기운이 진하매 죽어 자기 열조에게로 돌아가니 그 아들 에서와 야곱이 그를 장사하였더라
베노니와 베냐민
라헬은 아기를 낳은 후 심한 산고로 인해 죽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이 아들의 이름을 '베노니' 라고 불렀습니다 이것은 '내 슬픔의 아들'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야곱은 그 아들이 자기 이름을 부를 때마다 어머니의 죽음을 떠올리지 않도록 '베냐민'으로 이름을 바꾸어 주었습니다 베냐민은 '오른손의 아들 ' 곧 '축복을 받은 아들'이란 뜻입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입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에게 재 대신 화관을 슬픔대신 희락을 근심대신 찬송의 옷을 주시고 우리를 의의 나무 곧 여호와의 영광을 나타낼 자라고 칭하고 계십니다 한편 라헬의 죽음 직후 야곱의 이름은 이스라엘로 불리워지고 있습니다 유대 랍비들은 이것을 비극적인 사건 가운데서도 꿋꿋이 일어나 다시 순례의 길을 떠나는 야곱의 인내에 경의를 표하기 위함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제 야곱은 명실상부한 이스라엘로 성숙하고 있는 것입니다
야곱의 열두 아들
라헬의 죽음 후에 야곱의 가정에는 장자 르우벤이 아버지의 첩 빌하와 잠자리를 같이 하는 부끄러운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성도는 하나님의 약속을 거듭 받으면서도 동시에 고통과 비애를 만나게 됩니다 만약 야곱이 이 같은 거센 인생의 파도들이 밀려오기 전에 하나님과 화해하지 못했다면 그는 파산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훗날 르우벤은 이 일로 인하여 장자권을 박탈당하고 그의 후손이 탁월하게 되지못하는 저주를 선고받았습니다 그리하여 르우벤 지파에서는 사사나 예언자, 왕을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습니다 한편 23~26절에 야곱의 열 두 아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것은 야곱과 그 가족의 수 많은 허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마침내 완전수가 채워졌음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온유하고 말이 없는 이삭은 모든 족장 중에서 가장 오래 살았습니다 그리고 그의 죽음은 아브라함의 죽음과 마찬가지로 그의 아들들 사이에 화평을 선물로 주었습니다